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마포맛집
- 사루카메
- 연남동 사루카메
- 라멘
- 서울역 유즈라멘
- 신성각
- 대흥맛집
- 연남동 포가
- 일본식 라멘
- 랑만
- 용산 맛집
- 중국음식
- 연남동 맛집
- 푸드페스티벌
- 군만두
- 포가
- 홍대맛집
- 서울역 라멘
- 신공덕맛집
- 공덕맛집
- 도삭면
- 신촌맛집
- 곱창쌀국수
- 간짜장
- 잇더서울
- 유즈라멘
- 수요미식회
- 짜장면
- 서울역 맛집
- 연남동 중식
- Today
- Total
바삭바삭의 장난감 상자
집에서 혼자 간단히 밥 해 먹을 때 좋은 조미료 후기 본문
요즘 밖에 나가기 껄끄러워서 집에만 있다 보니 취미인 맛집 탐방도 못하게 됐다.
배달음식도 몇 번 주문해서 먹어보긴 했지만 배달 팁으로 줘야 하는 가격도 부담이 만만치 않아서 집에서 재료를 직접 사 해 먹기 시작했다.
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조미료, 소스도 찾아보게 되었는데 그 중 내가 유용하게 쓰고 있는 조미료가 몇 가지 있다.
매콤쿡, 해물쿡은 캠핑족 사이에선 제법 잘 알려진 조미료다.
원래는 라면에 넣어 먹는 건더기 조미료로써 자주 쓰이지만 찌개나 달걀찜, 볶음밥 등에 넣어도 좋다. 밥 순가락 기준으로 라면에 한 스푼씩만 넣어도 국물 맛이 확연하게 바뀌는 걸 느낄 수 있다.
개인적인 평가로는 기본 안성탕면에 해물쿡 한 스푼이면 너구리, 매콤쿡 한 스푼이면 신라면과 비슷한 맛이 났다.
취향에 따라서 두 가지를 적절하게 섞어 넣어도 좋다.
가장 오른쪽에 있는 건 라오간마 소스 돼지고기 맛이다.
우리나라로 치면 고추장으로 빗댈 수 있을 만큼 중국에서 자주 쓰이는 소스라고 한다. 고추 껍질, 고추씨, 대두, 돼지고기 다진 것 등이 들어가 있어서 볶음요리 등에 넣고 볶으면 마라 특유의 향이 확 올라온다.
고추기름 대용으로도 쓸 수 있어서 나 같은 경우엔 주로 볶음밥이나 짜파게티 만들 때 사용하곤 했다.
해물쿡, 매콤쿡 재료를 살짝 물에 불린 후 라오간마 소스를 베이스로 볶은 볶음밥이다.
추가로 표고버섯이랑 파프리카도 다져 넣었다. 집에 남아있던 콩나물 국이랑 편의점 인스턴트 중화음식도 사이드 메뉴처럼 진열하니 나름대로 호화로운 한 끼를 맛볼 수 있었다.
마라향과 튼실한 건더기의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는 맛있는 한 끼였다.
'평소와는 살짝 다른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술을 못 마셔도 OK. 버거킹 '기네스 머쉬룸 와퍼' 후기 (0) | 2020.09.06 |
---|---|
또 다른 비빔면 신품, '칼빔면' 후기 (0) | 2020.04.19 |
팔도가 아닌 비빔면, 진비빔면 후기 (0) | 2020.04.11 |
나의 버킷리스트 중 하나. 이른 아침 한강에서 라면 먹기 (0) | 2020.02.16 |